티스토리 뷰

방계출신 조선왕 // 선조, 인조, 영조, 철종, 고종

조선은 적장자 계승의 원칙을 가졌지만 왕비 소생의 장남이 왕이 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왕비가 아닌 후궁의 자식이왕이 되는 경우 방계출신이라고 했는데 조선 27대 왕 중에서 5명이 방계출신 왕이다.

 

장자가 아니어도 차남이나 삼남 등 중전의 아들이 왕이 되었지만 13대 명종이 마지막이었다. 이후 왕들은 방계출신의 자식들이 왕위를 이어갔다. 하지만 방계출신 왕이어도 자식대에서는 정통으로 인정하는 기준으로 순수하게 방계출신이 왕이 된 케이스는 14대 선조가 처음이고 이후 4명의 왕이 더 있었다.

 

이들은 모두 왕위를 계승할 위치에 있지 않았지만 왕이 되었기 때문에 콤플렉스가 심했다. 정통성을 의심받아 반란이 일어나기도 했고 스스로 정통성을 만들려고 노력하기도 했다.

 

선조

조선최초로 방계출신 왕이다. 선조를 포함해서 수많은 명종의 이복형제와 자식들이 있었지만 선조가 명종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으니 선조는 행운아인 셈이다.

 

선조는 명종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지만 형도 있었고 아버지는 중종의 후궁소생이었기 때문에 운이 아주 좋아서 왕이 된 것이다.

 

왕이 된 선조는 방계출신이라는 콤플렉스가 심했다고 한다. 그래서 죽은 아버지를 왕으로 추존하려고 노력했으나 신하들의 반대로 물거품이 되었다.

 

아버지는 임금의 아버지라는 대원군 칭호를 받았다. 덕흥대원군이 조선최초의 대원군이다. 선조는 자신의 뒤를 이을 임금이 자신처럼 방계가 아닌 중전의 자식 즉, 적통으로 이으려고 했다.

 

하지만 왕비에게서는 아들이 없었고 후궁에게서 아들이 있었고 임진왜란이 발생하자 어쩔수 없이 후궁의 둘째 아들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했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선조가 바라는 적통왕자가 태어 났지만 이미 광해군이 세자였기 때문에 선조는 어린 적통왕자를 다음 보위에 앉히고 싶었지만 나이가 너무 어려서 실패했다.

 

이러한 선조의 컴플렉스와 적통왕자에 대한 애착은 결국 광해군시대에 비극으로 이어졌다. 광해군은 선조의 적통아들이자 이복동생 영창대군을 사사했고 이것이 인조가 반정을 일으키는 명분 중 하나였다.

 

인조

인조의 아버지는 선조의 6번째 아들의 장남이다. 선조의 적자가 아닌 후궁 출신 아들의 아들이 왕이된 것이다. 인조는 광해군을 몰아내는 반정에 성공해서 즉위했다.

 

인조 또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통성 문제 때문에 고민이 많았고 선조처럼 자신의 아버지를 왕으로 추존했다. 선조는 실패했지만 인조는 성공해서 아버지 정원군은 원종으로 추존되었다.

 

인조는 병자호란을 겪었고 이괄의 난으로 조선시대 왕 중에서 유일하게 반란군에게 한양을 점령당한 임금이다. 아들이 소현세자와 갈등으로 아들을 죽였다는 의심을 받았다.

 

아들뿐 아니라 며느리와 손자들 까지 모두 사형시키거나 귀향을 보냈다. 후대 역사가들이 평가하기를 인조반정을 일어나지 말아야 하는 반정이라고 한다. 그만큼 인조는 무능했고 백성들은 고생했다.

 

영조

숙종의 서자이고 경종의 이복동생이다. 경종은 즉위과정에서 하자가 있었다. 경종의 어머니가 우리가 사극에서 많이 접한 장희빈이다.

 

장희빈 죽음에 연루된 노론세력들은 경종의 즉위를 반대했고 경종이 왕이 된 이후에도 다음 왕위를 경종의 아들이 아닌 이복동생 연잉군에게 물려줄 것을 요구했다.

 

조선최초 세제가 된 영조는 경종의 독살설에 휘말려 평생 고생했다. 조선시대 최장수 임금이고 가장 오랫동안 보위에 있었지만 경종을 죽였다는 의심과 적장자가 아니라는 것 때문에 힘들어했다.

 

이인좌는 이러한 구실로 반란을 일으켰고 영조에게는 정치적으로 치명적인 사건이었다. 탕평의 정책을 실시했지만 정치적 이유가 포힘 되어 아들 사도세자를 죽이게 된다.

 

철종

철종은 정말 왕이 될 수 없는 위치에 있었던 인물이다. 왕족이기는 하지만 잊힌 그리고 항열이 헌종보다 위였기 때문에 즉위하기 힘들었지만 당시 권력자들이 자신들을 위해서 왕으로 즉위시켰다.

 

철종은 사도세자의 서자 은언군의 서자 전계대원군의 서자이다. 한마디로 사돈의 팔촌인 것이다. 강화도에서 농사를 짓다가 어느 날 갑자기 왕이 된 것이다.

 

사실 철종 말고 다른 사람이 왕이 될 수 있었다. 당시 가장 가까운 후보가 흥선대원군이었다. 하지만 안동김씨는 까다로운 흥선대원군보다는 어리숙한 철종을 택했다.

 

철종은 말 그대로 허수아비왕이었다. 글자를 몰랐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왕이 될 자질이 되지못했고 교육받지 못했다. 그래서인지 후사 없이 33세에 병사했다.

 

고종

고종 또한 왕이 될 가능성이 없는 왕족이었지만 정치적 결탁에 의해서 왕이 되었다. 아버지는 흥선대원군이었고 형이 있었지만 아버지의 노력에 의해 26대 왕으로 즉위했다.

 

고종도 족보가 조금 복잡하다. 사도세자의 서자 은신군의 아들 남연군이 할아버지이다. 남연군 아들이 흥선대원군이고 둘재 아들이 고종이다.

 

흥선대원군과 조대비가 서로 결탁해서 왕이 된 고종은 성인이 될 때까지 아버지 흥선이 섭정을 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이때 조선의 왕은 흥선대원군이었다.

 

아버지 그늘에서 벗어나서 왕비인 명성황후가 정치에 직접 관여하면서 아버지와 처 사이에서 힘든 상황이었고 결국 조선은 일제에 의해서 멸망되는 길을 걷게 된다.

 

2023.05.07 - [분류 전체보기] - 세조 가족들 // 의경세자, 성종, 정희왕후, 인수대비

 

세조 가족들 // 의경세자, 성종, 정희왕후, 인수대비

세조 가족들 // 의경세자, 성종, 정희왕후,인수대비 수양대군으로 알려진 세조는 할아버지 태종과 비슷한 점이 많았다.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 수많은 희생을 치렀지만 죄책감으로 괴로워하기

guyde01.tistory.com

2023.05.03 - [분류 전체보기] - 광무제(고종),융희제(순종),고황제,소황제,의황제 // 대한제국 황제들

 

광무제(고종),융희제(순종),고황제,소황제,의황제 // 대한제국 황제들

광무제(고종), 융희제(순종), 고황제, 소황제,의황제 // 대한제국 황제들 왕의 나라와 황제의 나라는 다르다. 우리나라에도 황제가 다스리는 제국의 시대가 있었다. 단순하게 선언적인 제국이 아

guyde01.tistory.com

2023.05.02 - [분류 전체보기] - 조선시대 왕이 된 적장자 왕세자, 왕이 되지 못한 적장자 왕세자

 

조선시대 왕이 된 적장자 왕세자, 왕이 되지 못한 적장자 왕세자

조선시대 왕이 된 적장자 왕세자, 왕이 되지 못한 적장자 왕세자 조선시대 왕위 계승의 원칙은 장자계승이다. 장남인 왕자(적장자)가 다음 왕위를 이어받아서 왕이 되는 것인데 실상을 그러하지

guyde01.tistory.com

2023.05.01 - [분류 전체보기] - 태종 이방원 왕자의 난,수양대군 계유정난,중종반정,인조반정

 

태종 이방원 왕자의 난,수양대군 계유정난,중종반정,인조반정

태종 이방원 왕자의 난, 수양대군 계유정난, 중종반정, 인조반정 조선시대 쿠데타를 일으켜서 왕이 된 임금이 몇 명 있다. 최초의 쿠데타는 태종 이방원이 일으킨 왕자의 난이고 마지막 쿠데타

guyde01.tistory.com

2023.04.26 - [분류 전체보기] - 영조 가계도, 영조 계보_경조,사도세자,정조

 

영조 가계도, 영조 계보_경조,사도세자,정조

영조 가계도, 영조 계보_경종, 사도세자, 정조 조선 21대 국왕 영조하면 떠오르는 게 두 가지 있다. 하나는 사도세자이고 또 다른 하나는 오랜 산 임금이라는 것이다. 영조는 조선시대 국왕 중에

guyde01.tistory.com

2023.03.13 - [분류 전체보기] - 장렬왕후(자의대비)_ 인조의 계비, 예송논쟁 당사자,장희빈 후원자

 

장렬왕후(자의대비)_ 인조의 계비, 예송논쟁 당사자,장희빈 후원자

장렬왕후(자의대비)_인조의 계비, 예송논쟁 당사자, 장희빈 후원자 장렬왕후는 15살에 29살이나 더 많은 인조와 결혼을 했다. 인조의 정비가 죽자 계비로 책봉된 것이다. 인조는 장렬왕후와 결혼

guyde01.tistory.com

2023.01.14 - [분류 전체보기] - 소서노 // 고구려, 백제를 건국하다.

 

소서노 // 고구려, 백제를 건국하다.

소서노 // 고구려, 백제를 건국하다. 고구려 하면 주몽을 백제 하면 온조를 생각한다. 소서노 하면 누구인지 잘 모르는 사람이 많은데 고구려와 백제를 건국한 여인이다. 우리 민족사에 아주 중

guyde01.tistory.com

2023.01.05 - [분류 전체보기] - 민제, 민무구, 민무질, 민무회, 민무휼 // 태종 이방원 장인과 처남들

 

민제, 민무구, 민무질, 민무회, 민무휼 // 태종 이방원 장인과 처남들

민제, 민무구, 민무질, 민무회, 민무휼 // 태종 이방원 장인과 처남 태종 이방원이 조선 3대 임금이 되는데 직간접적으로 큰 역할을 한 사람들은 처남과 장인이다. 부인인 원경왕후 민 씨의 가족

guyde01.tistory.com

2023.01.07 - [분류 전체보기] - 철종_철종 가계도와 철인왕후

 

철종_철종 가계도와 철인왕후

철종_철종 가계도와 철인왕후 조선의 임금 중에 25대 임금 철종이 가장 드라마틱한 삶을 산 왕이다. 조선의 왕은 선조까지는 적장자가 보통 왕위를 이었고 선조 이후 서자가 왕이 된 적이 있었지

guyde01.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