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짧은 기간 동안 재위한 조선시대 왕
조선왕조 500년 동안 27명의 왕이 통치를 했다. 가장 오랫동안 재위한 임금은 영조대왕으로 무려 51년 7개월이다. 반대로 가장 짧은 기간 동안 재위한 임금은 인종으로 7개월이 전부이다. 가장 장수한 임금은 영조이고 가장 단명한 임금은 단종으로 17세에 죽었다.
세자로 가장 오랫동안 있었던 왕은 조선 마지막 왕 순종이다. 무려 32년간 세자 신분으로 있었다. 27명의 왕 이외에 죽어서 왕으로 추존된 왕이 5명 있다(덕종, 원종, 진종, 장조, 익종).
짧은 기간 동안 재위한 조선왕
모두 7명으로 가장 짧은 왕은 인종으로 8개월이 전부였다. 그나마 길게 했던 왕이 경종으로 4년이다. 왕은 최고 권력자이지만 행복한 것만은 아니었다.
- 12대 인종 : 8개월
- 8대 예종 : 13개월
- 5대 문종 : 2년 3개월
- 6대 단종 : 3년
- 2대 정종 : 2년
- 20대 경종 : 4년
- 27대 순종 : 3년
조선시대 왕의 평균 재위 기간은 19년이었다. 하지만 7명의 왕은 최대 4년을 넘지 못했다. 정종, 단종, 순종은 본인 의사와는 관계없이 외부의 힘에 의해서 왕위를 물려준 케이스다.
정종
얼떨결에 왕이 되었고 그마저도 오래 지키지 못하고 바로 물러났다. 태조 이성계의 둘째 아들이다. 왕자의 난으로 권력을 잡은 이방원에 의해 왕이 되었다.
하지만 허수아비 왕이었고 이방원에 의해서 목숨을 부지하기 힘들 것이라는 생각에 바로 왕위를 이방원에게 물려주고 상왕이 되어서 천수를 누렸다.
왕이된 이후에 뚜렷한 치적을 남기지 않았다. 스스로 왕이 될 운명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왕 노릇도 하지 않았고 자식에게 왕위를 물려줄 생각도 하지 않았다.
조선 초기에는 정종을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그래서 묘호도 죽은 다음 바로 받은 것도 아니고 세종 때에 받았다. 그만큼 존재감 없는 왕이었다.
단종
문종의 아들로 부자가 재위 기간이 짧은 왕이다. 아버지 문종은 비록 재위 기간은 짧았지만 세자 시절에 세종대왕을 대신해서 대리청정을 오랫동안 했다.
문종이 너무 일찍 죽어서 단종은 12살의 나이로 즉위를 했지만 주변에 그를 지켜주는 힘이 미약했다. 고명대신 김종서를 비록 한 몇몇이 있었지만 수양대군의 힘이 더 컸다.
수양대군은 문종의 동생이고 세종대왕의 아들이다. 단종이 즉위하고 나서 왕권이 약화되고 신하들이 정권을 장악하는 것이 못마땅해서 정변을 일으켰다.
계유정난을 일으킨 수양대군은 김종서를 비록 한 단종의 고명대신 모두를 죽인다. 그리고 단종도 영월로 귀향 보내고 나중에 사사한다.
단종을 복위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실패한다. 사육신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단종이 영월에서 귀향 생활을 할 때 단종곁에 끝까지 있었던 가문이 영월엄씨라는 설도 있다.
순종
고종의 아들이고 대한제국 2대 황제이다. 아버지 고종이 헤이그 밀사 사건으로 일제에 의해 강제로 폐위되었다. 고종의 뒤를 이어서 즉위를 했지만 이미 조선은 일제에 의해 지배당하고 있는 상태였다.
조선시대 왕 27명 중 유일하게 즉위식에 참석하지 않은 왕이다. 1910년 한일병합과 함께 왕위에서 물러나고 1926년에 죽었다.
아버지 고종을 독살하려는 세력이 고종이 좋아하는 커피에 독을 넣었는데 순종이 그걸 마셔서 건강이 극도로 악화 되었다는 설도 있다. 조선의 마지막 왕이고 대한제국 2대 황제였다.
인종(12대), 경종(20대)은 독살설에 자주 등장하는 임금이다. 인종은 중종의 아들이다. 어머니 장경왕후는 산후증으로 일찍 죽었다.
인종
인종하면 떠오르는 인물이 문정 왕후이다. 조선시대 여성으로 최고의 권력을 가진 사람으로 기록되는데 문정왕후는 인종을 많이 괴롭혔다고 한다.
인종은 효자로 유명한데 비록 계모이지만 문정왕후에게 효를 다했다고 한다. 문정왕후가 준 떡을 먹고 얼마 되지 않아서 죽었다. 그리고 다음 왕은 문정왕후의 아들 명종이 되었다.
인종은 이복동생인 명종을 아주 좋아했다고 한다. 문정왕후 때문에 시련의 시기를 거치는 동안에도 경종을 아끼고 사랑한 흔적이 남아 있다. 인종은 비운의 왕이 엇다.
경종
경종은 당파의 희생양이다. 숙종과 장희빈 사이에서 태어났지만 어머니 장희빈이 사사되면서 세자 자리도 흔들렸다. 자식이 있었지만 이복동생 영조를 세제로 책봉했을 정도였다.
영조가 올린 게장과 감을 먹고 죽었다는 독살설이 조선시대 내내 이어졌고 영조는 경종의 죽음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인종과 경종을 독살당했다고 후세 사람들이 믿고 있다.
경종은 장희빈 아들이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힘들었던 것이다. 그리고 평소에 건강이 좋지 않았다고 한다. 이러한 경종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영조는 즉위했지만 여러 가지로 불편한 상황이 이어졌다.
문종
문종만 정상적인 왕권을 행사했다. 문종은 재위 기간이 비록 짧았지만 세종을 대신해서 오랜 기간 대리청정을 했고 세자 시절이 길었다.
문종은 아버지 세종과 더불어 수많은 업적을 남겼다. 세종 시절에 남긴 유물들 중 많은 부분은 문종이 직접 관여한 업적도 많다.
문종은 효자로 유명하다. 세자 시절 업무량이 많아서 건강하지 못했고 아버지와 어머니가 연이어 돌아가시면서 3년상을 치르느라 몸이 쇠약해졌다. 결국 어린 단종을 남겨두고 일찍 죽었다.
예종
예종은 수양대군의 차남이다. 장남이 세자 시절에 죽었기 때문에 형을 대신해서 즉위했지만 오래가지 못했다. 아들이 아닌 조카 성종에게 왕위를 물려준다.
7명의 왕들 중 세조와 관련된 왕이 제일 많다. 문종(세조의 형), 예종(세조 아들), 단종(세조 조카)이다. 수양대군 세조는 단종을 몰아낸 것에 대해서 평생 괴로워했다고 한다.
짧은 기간 동안 재위한 조선시대 왕은 건강이 나빠서 일찍 죽은 경우보다는 독살이나 강제 폐위가 더 많다. 그만큼 조선시대 왕은 왕권이 상대적으로 약했다.
2022.05.21 - [분류 전체보기] - 인수대비,명성황후,정희왕후,문정왕후_왕권에 도전한 왕후
인수대비,명성황후,정희왕후,문정왕후_왕권에 도전한 왕후
인수대비, 명성황후, 정희왕후, 문정왕후_왕권에 도전한 왕후 조선 여인 정치 인수대비, 명성황후, 정희왕후, 문정왕후 조선시대에 왕비는 왕의 정실부인을 말한다. 왕은 왕비 이외에도 여러 후
guyde01.tistory.com
2022.04.22 - [분류 전체보기] - 세종대왕의 아들_문종,수양대군,안평대군,금성대군
세종대왕의 아들_문종,수양대군,안평대군,금성대군
세종대왕의 아들_문종, 수양대군, 안평대군, 금성대군 세종대왕의 아들들 문종, 세조, 단종 그리고 안평, 금성 조선시대 최고의 성군으로 칭송받고 있는 세종대왕은 역사에 남을 치적을 남긴 것
guyde01.tistory.com
2022.04.30 - [분류 전체보기] - 조선시대 계급, 조선시대 평균수명, 조선시대 형벌
조선시대 계급, 조선시대 평균수명, 조선시대 형벌
조선시대 계급, 조선시대 평균수명, 조선시대 형벌 조선시대와 관련된 기록은 비교적 상세하게 많이 남아 있다. 조선왕조 실록과 승정원일기처럼 객관적인 사료로 가치가 뛰어난 기록물들이 많
guyde01.tistory.com
2023.01.15 - [분류 전체보기] - 김자점_조선 최고의 간신,주요행적
김자점_조선 최고의 간신,주요행적
김자점-조선 최고의 간신, 주요 행적 김자점은 광해군, 인조, 효종 시대 간신으로 유명하다. 권력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 나라를 팔아먹고, 소현세자를 죽이고 역모를 저지른 조선
guyde01.tistory.com
2023.01.12 - [분류 전체보기] - 고종_고종가계도,흥선대원군,의친왕,순종,덕혜옹주
고종_고종가계도,흥선대원군,의친왕,순종,덕혜옹주
고종_고종 가계도, 흥선대원군, 의친왕, 순종, 덕혜옹주 고종하면 생각나는 게 나라를 망하게 만든 왕이다. 왕이 되는 과정도 순탄하지 않았고 왕에 즉위하고도 아버지 흥선대원군에 의해서 그
guyde01.tistory.com
2022.10.13 - [분류 전체보기] - 비운의 세자들_사도세자,소현세자,효명세자
비운의 세자들_사도세자,소현세자,효명세자
비운의 세자들_사도세자, 소현세자, 효명세자 조선시대에 세자는 다음 왕위 계승자를 말하는 것이다. 많은 왕자들 중에 공식적으로 다음 왕위를 계승할 왕자로 인정받는 것인데 이러한 세자들
guyde01.tistory.com
2022.10.25 - [분류 전체보기] - 세도정치 // 홍국영, 안동김씨, 풍양조씨
세도정치 // 홍국영, 안동김씨, 풍양조씨
세도정치 // 홍국영, 안동김씨, 풍양조씨 세도정치는 조선 후기의 독특한 정치형태였다. 우리가 기억하는 세도정치는 특정세력이 국정을 마음대로 하는 것이다. 세도 정치하면 안동김씨와 풍양
guyde01.tistory.com
2022.07.13 - [분류 전체보기] - 중종가계도,문정왕후,인종,명종,덕흥대원군
중종가계도,문정왕후,인종,명종,덕흥대원군
중종 가계도, 문정왕후, 인종, 명종, 덕흥대원군 조선 11대 임금 중종은 성종의 여덟 번째 아들이다. 이복형인 연산군이 반정세력에 의해서 폐위되면서 박종원과 성희한 등 반정공신들에 의해서
guyde01.tistory.com
2022.06.25 - [분류 전체보기] - 조선왕 계보, 조선왕조 계보(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
조선왕 계보, 조선왕조 계보(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
조선왕 계보, 조선왕조 계보(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 조선왕조의 순서는 우리가 조금씩은 알고 있지만 전체를 모두 아는 경우는 드물다. 1대 태조 이선계로부터 마지막 27대 순종까지 약 500년
guyde0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