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폐비, 조선시대 폐위된 왕비들

조선시대 왕비중에는 절대권력이 왕을 뛰어넘는 경우도 있었지만 반대로 폐위되어 사사되기도 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폐비윤씨와 장희빈이 대표적이다.

왕도 쫒겨나는 상황에서 왕비 또한 폐비되는 경우가 당연하겠지만 조선시대 폐위된 왕비중에는 정쟁으로 희생된 사람이 더 많았다.

 

폐비윤씨(연산군 엄마)

폐비하면 가장 많이 거론되는 인물이 폐비윤씨이다. 조선시대 최고의 성군 성종의 왕비이자 최고의 폭군 연산군의 엄마라는 양면성을 가진 왕비이다.

 

윤씨가 폐비된 이유는 많지만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투기이다. 성종의 얼굴에 상처를 낼 정도의 투기는 성종의 어머니인 인수대비를 분노하게 했다.

 

이외에도 다른 사람을 해하려는 목적으로 독약을 타거나 인형을 만들어서 저주하는 등 왕비가 해서는 않될 일들을 연속적으로 했다. 하지만 세자의 어머니라 폐비로 마무리 될 수 있었던 일이  엄숙의,정숙용등이 사주해서 결국 사사되었다.

 

아들인 연산군이 즉위하면서 다시 왕비로 복권이 되었지만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되면서 다시 폐위 되었다. 연산군이 폭군이 된 이유가 어머니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단종비(정순왕후), 연산군비, 광해군비

남편인 왕이 폐위되면서 같이 폐비된 왕비는 모두 3명이다. 반정에 의해서 왕에서 쫒겨나면서 자연스럽게 왕비의 신분도 사라진 것이다.

 

연산군과 광해군은 모두 반정에 의해서 폐위 되었다. 두사람 모두 왕비와 세자가 있었지만 모두 비극적으로 삶을 마감했다. 연산군 또한 폐위되고 얼마 않되 죽었지만 광해군은 18년을 더 살았다.

 

연산군비와 광해군비는 조선시대에 다시는 복권되지 않았지만 단종비는 사정이 조금 달랐다. 남편 단종이 세조에 의해서 폐위되면서 같이 폐비가 되었지만 숙종때 복위되었다. 

 

장희빈, 인현왕후 민씨

숙종은 자신의 부인을 두번이나 폐비시켰다. 첫번째는 계비였던 인현왕후이다. 숙종은 왕비도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인물 정도로 생각한 듯 하다.

장희빈과 인현왕후는 이러한 숙종의 정치적 계산에 의해서 폐위되고 복위 되는 일을 반복한 것이다. 당시 조정의 권력또한 장희빈을 지지하는 남인과 인현왕후를 지지하는 서인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인현왕후는 장희빈과 투기에 의해서 폐위된 것이 아니고 이러한 정치적인 이유와 숙종의 왕권강화 정책이 맞물려 일어난 일이다.

 

장희빈은 인현왕후가 폐비가 되자 왕비가 되었다. 아들은 세자로 책봉되어 권력의 정점에 있었지만 갑술환국때 폐위되고 나중에 사사당한다.

 

장희빈의 아들인 세자는 숙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당시 서인들은 자신들이 보복 당할 까봐 즉위에 반대했고 즉위이후에는 자신들이 추천하는 영조를 세제로 삼아 다음 왕위로 이어가게 했다.

 

장희빈의 아들은 경종이다. 사람들이 경종과 연산군을 가끔 혼동하기도 한다. 장희빈이 연산군의 엄마 폐비윤씨와 동일시해서 벌어지는 일이다.

 

명성왕후, 단경왕후 신씨

고종의 왕비인 명성왕후도 폐비 되었다가 다시 복위한 사건이 있었다. 시아버지인 흥선대원군과 명성왕후는 정적이었다. 서로를 죽이려는 시도를 했을 정도이다.

 

명성왕후는 을미사변으로 일본인에게 잔인하게 시해당했다. 명성왕후 시해사건이후 잠시 흥선대원군이 정권을 잡은 적이 있는데 이때 폐비되었다가 두달만에 복위 되었다.

 

단경왕후 신씨는 7일간 왕비로 있었다. 조선시대 왕비중에 가장 짧은 기간동안 왕비로 있었다. 정식으로 즉위하지 않았기 때문에 왕비가 아니라는 말도 있다.

 

중종이 반정에 성공하고 즉위하자 왕비가 되었지만 아버지 신수근이 연산군의 처남이고 반정에 반대했던 인물이어서 폐비가 되어 궁궐에서 쫒겨났다.

 

중종또한 단경왕후를 잊지 않고 단경왕후가 있는 곳을 바라 보았다고 한다. 이러한 소식을 들은 단경왕후는 중종이 볼 수 있게 자신이 입던 치마를 바위 위에다 걸어 두었을 정도로 부부애는 깊었지만 정치적인 이유로 서로 함께 하지 못햇다.

 

2023.02.26 - [분류 전체보기] - 광해군 가계도,화인옹주

 

광해군 가계도,화인옹주

광해군 가계도, 화인 옹주 조선 15대 임금 광해군은 인조반정에 의해서 쫓겨난 임금이다. 잊힌 임금이었으나 드라마나 영화에서는 백성을 생각하고 개혁적인 정치를 하려고 노력한 임금으로 명

guyde01.tistory.com

2023.02.05 - [분류 전체보기] - 장렬왕후(자의대비)_ 인조의 계비, 예송논쟁 당사자,장희빈 후원자

 

장렬왕후(자의대비)_ 인조의 계비, 예송논쟁 당사자,장희빈 후원자

장렬왕후(자의대비)_인조의 계비, 예송논쟁 당사자, 장희빈 후원자 장렬왕후는 15살에 29살이나 더 많은 인조와 결혼을 했다. 인조의 정비가 죽자 계비로 책봉된 것이다. 인조는 장렬왕후와 결혼

guyde01.tistory.com

2023.01.26 - [분류 전체보기] - 조선왕 독살설_정조,고종,경종,인종 독살설

 

조선왕 독살설_정조,고종,경종,인종 독살설

조선왕 독살설_정조, 고종, 경종, 인종 독살설 조선의 27명의 왕 중에는 그 죽음이 석연치 않아서 정상적인 죽음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임금이 많았다. 대부분 갑자기 죽거나 죽은 후에 임금과

guyde01.tistory.com

2023.01.24 - [분류 전체보기] - 짧은 기간 동안 재위한 조선시대 왕

 

짧은 기간 동안 재위한 조선시대 왕

짧은 기간 동안 재위한 조선시대 왕 조선왕조 500년 동안 27명의 왕이 통치를 했다. 가장 오랫동안 재위한 임금은 영조대왕으로 무려 51년 7개월이다. 반대로 가장 짧은 기간 동안 재위한 임금은

guyde01.tistory.com

2022.11.28 - [분류 전체보기] - 인수대비,명성황후,정희왕후,문정왕후_왕권에 도전한 왕후

 

인수대비,명성황후,정희왕후,문정왕후_왕권에 도전한 왕후

인수대비, 명성황후, 정희왕후, 문정왕후_왕권에 도전한 왕후 조선시대에 왕비는 왕의 정실부인을 말한다. 왕은 왕비 이외에도 여러 후궁을 두었으니 왕의 사랑을 독차지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guyde01.tistory.com

2022.10.24 - [분류 전체보기] - 수렴청정 // 성종, 명종, 선조, 순조, 헌종, 철종, 고종

 

수렴청정 // 성종, 명종, 선조, 순조, 헌종, 철종, 고종

수렴청정 // 성종, 명종, 선조, 순조, 헌종, 철종, 고종 수렴청정은 왕이 너무 어린 나이에 즉위를 하여서 정상적으로 정사를 돌보지 못하는 경우에 왕실의 큰 어른(대비, 대왕대비)이 정사에 참여

guyde01.tistory.com

2022.07.07 - [분류 전체보기] - 이이첨,김개시,정인홍_광해군의 사람들

 

이이첨,김개시,정인홍_광해군의 사람들

이이첨, 김개시, 정인홍_광해군의 사람들 선조의 뒤를 이어 왕이 된 광해군은 세자 책봉부터 즉위 과정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선조는 조선 최초의 방계 출신 왕이라는 콤플렉스를 아들에게

guyde01.tistory.com

2022.07.19 - [분류 전체보기] - 조선시대 계급(신분제도), 조선시대 평균수명, 조선시대 형벌

 

조선시대 계급(신분제도), 조선시대 평균수명, 조선시대 형벌

조선시대 계급(신분제도), 조선시대 평균수명, 조선시대 형벌 조선시대와 관련된 기록은 비교적 상세하게 많이 남아 있다. 조선왕조 실록과 승정원일기처럼 객관적인 사료로 가치가 뛰어난 기

guyde01.tistory.com

댓글